

연구윤리
-
부실학술지(약탈적 학술지)의 정의
- 관련 학계가 인정하기 어려운 절차에 따라 발표할 연구논문이 결정되는 학술지 - 연구자들에게 연구성과가 필요하다는 점을 악용하여 거짓된 정보로 연구자를 유혹 - 정상적인 동료간 동료간 심사와 검증절차 부재 - 논문 투고료 등 금전적 이익을 노리는 학술지 -
부실학술지(약탈적 학술지)의 특징
- 전문적이지 않고 다양한 학문 분야를 다룬다 - 동료 심사 절차가 없거나 빈약하다 - 논문 제출과 출판 사이의 기간이 아주 짧다 - SCI나 Scopus의 등재를 주장하나 확인 불가 - 단체나 학술지명에 World, Grobal International같은 과장된 어휘를 사용 - 홈페이지에 이메일 주소 외에 일반 주소가 없다 - 공식적인 논문 게재료가 나와있지 않고 개별청구 - 논문 제출 양식이 조약하다 -
부실학술지(약탈적 학술지) 와 학회 예방 가이드(한국연구재단) :
-
부실학술지(약탈적 학술지) 확인 방법
- Beall’s list of Preadatory Jourlnals and Publishers (바로가기) 콜로라도 대학도서관 사서 Jeffery Beall이 작성한 부실 학술출판 정보로 부실 출판사, 부실 학술지, 탈취 저널, 가짜 인용지표 등의 정보를 제공 - Stop predatory Journals (바로가기) Beall’s list를 기초로 부실 학술지 관련 정보를 제공하고 있으며 지속적으로 업데이트를 하고 있으며 DOAJ, JCR 등의 상황을 함께 표시
